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말 그대로 현금 및 현금과 동일시되는 현금성자산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재무상태표의 '당좌자산'에 해당되며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최종적으로 취득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알고 있는 현금은 지폐와 동전, 넓게 봐야 수표 정도이지만, 회계에서는 현금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것도 현금으로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타인발행당좌수표, 자기앞수표, 송금수표, 우편환, 당좌예금, 보통예금, 만기가 도래한 공/사채이자표, 만기가 도래한 어음 등이 회계에서의 현금에 해당합니다.
현금성자산은 취득할 당시에 취득일을 기준으로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채권 및 금융상품, 환매채(3개월 이내에 환매조건), 투자신탁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서의 환매채란 증권회사나 금융회사들이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다시 사들이는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콜자금 등)을 말하며 소정의 이자가 발생하고 발행자가 단기적인 자금이 필요할 때 발행하는 채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금성자산은 반드시 취득일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만약 장기금융상품의 만기가 3개월 이내로 도래한다 해도 현금성자산으로 계정과목이 바뀌지 않습니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회계용어] 유형자산 (0) | 2022.03.28 |
---|---|
[기초회계용어] 투자부동산 (0) | 2022.03.22 |
[기초회계용어] K-IFRS (0) | 2022.03.21 |
[기초회계용어] 미착품 (1) | 2022.02.28 |
[기초회계용어] 운용리스 (0) | 2022.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