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기초회계용어] 자본적 지출
hyundz
2022. 2. 10. 20:43

자본적 지출은 기업이 자산의 가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지출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다만, 비용을 지출한 효과가 일시적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에만 자본적 지출로 인정됩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 제품을 운반하는 화물 엘리베이터가 없었는데 새로 설치했다면 이는 자본적 지출에 해당됩니다. 화물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면 제품을 운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익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는 한번 설치하면 거의 건물의 수명이 끝날 때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오랫동안 그로인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설치비용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데, 이 비용은 그대로 기존 자산의 잔존가액에 반영된다. 결국 설치비용이 공장의 잔존가액에 더해지면서 기존 자산의 잔존가액이 바뀌는데, 이러한 변환을 '자본화'라고 합니다. 자본적 지출로 자산의 잔존가액이 바뀌면 다음 달부터 공장 건물의 감가상각은 어떻게 진행이 될까요? 공장 건물의 잔존가액이 2억원 이었는데 엘리베이터의 설치비용이 2천만원 이었다면 공장 건물의 잔존가액은 2억 2천만 원이 됩니다. 따라서 다음 달 부터는 2억 2천만 원에 대해 감가상각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때 감가상각기간은 현재 공장 건물의 남은 상각기간에 따르게 됩니다. 자본적 지출이 기존 공장 건물의 잔존가액을 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자본적 지출 비용이 기존 잔존가액보다 많다면 다음 달부터 다시 공장 건물의 내용연수를 산정하여 새롭게 감가상각을 진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