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기초회계용어] 재고자산회전율
hyundz
2022. 2. 10. 20:26

재고자산회전율은 자산운영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활동성비율로서 매출채권회전율과 더불어 기업에서 중시해야 할 지표입니다.
기업이 보유하는 자산 중 가장 중요한 자산이 재고자산이며, 재고자산이 원활하게 매출채권이 되지 않는다면 기업은 팔리지 않고 쌓여가는 재고자산 때문에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을 보관하는 비용이 기업에게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재고자산이 매출채권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느리면 자금회전이 되지 않아 기업이 자금난에 시달릴 수도 있는 것입니다.
재고자산회전율(회) = 매출원가 / 평균재고자산
평균재고자산 = (기초재고자산 + 기말재고자산) / 2
재고자산회전율의 횟수는 회계기간 중 재고자산이 몇 회 매출채권으로 전환 되었는가를 나타냅니다. 기업은 업종마다 재고자산회전율을 달라서 표준을 정하기 어려우기 때문에 동종업계와 비교하는 것이 올바른 분성방법입니다. 이처럼 재고자산회전율을 알 수 있다면 재고자산회수기간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회수기간은 1년을 기준으로 재고자산을 매출채권으로 전환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을 측정한 지표입니다. 즉, 재고자산회전율을 알면 재고자산을 매출채권으로 전환하는 데 며칠이 걸렸는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재고자산회수기간(일) = 365(일) / 재고자산회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