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용리스'는 소유권이 이전되지 않고 계약기간만 사용하는 리스계약을 의미합니다.
운용리스는 임차하는 리스자산을 계약기간 동안 사용하고 반납하거나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리스자산의 잔존가액을 주고 완전히 구매할 수도 있는 계약 방법을 의미합니다. 또한, 리스 이용자에게 리스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이 이전되지 않는 계약을 의미합니다.
운용리스를 이용하여 임차할 수 있는 자산은 자동차, 기계장치나 설비류, 전산장비 등입니다. 이밖에도 리스회사가 대상 물건을 보유하고 있거나 공급하는 제조사와 공급계약이 가능하면 리스 계약을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리스를 예로 들어 봅시다. 자동차를 리스하려는 법인이나 개인은 자동차 제조사와 구매계약을 하지 않고 리스회사(캐피탈 등)와 계약하고 자동차를 빌립니다. 리스계약기간이 있고 월 리스료를 내지만 계약기간이 끝나면 반납 혹은 구매하거나 또 다시 리스를 할 수도 있습니다. 자동차가 중간에 고장이 나 더이상 타기 어렵다고 해서 리스계약이 끝나지는 않습니다. 리스회사는 이때 다른 자동차를 제공하여 줍니다.
하지만 2019년부터는 리스회계 처리규정이 변경되어 단기간(1년 미만) 및 소액 리스(5백만원 이하)를 제외한 리스계약은 전부 금융리스와 동일한 방법으로 회계 처리를 해야 합니다. 운용리스는 부채가 발생한 계약임에도 재무제표에 전혀 반영이 되지 않아 외부 이용자가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회계 처리 규정이 바뀌게 된 것입니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회계용어] K-IFRS (3) | 2022.03.21 |
---|---|
[기초회계용어] 미착품 (1) | 2022.02.28 |
[기초회계용어] 금융리스 (0) | 2022.02.28 |
[기초회계용어] 이익잉여금 (2) | 2022.02.27 |
[기초회계용어] 자본금 (0) | 2022.02.27 |
댓글